서울시, 6.7.(토)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서 국악축제 연다

0
24

□ 서울시가 오는 6월 7일(토) 10시부터 21시까지 광화문 앞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2025 제7회 서울국악축제>를 개최한다. 특히 올해는 매년 6월 5일을 ‘국악의 날’로 지정한 첫 해로, 축제의 상징성과 중요성이 더욱 크다.

○ ‘국악의 날’은 국악진흥법 시행령(’24.7.26.) 제5조에 따라 법정 기념일로 확정되었다. 1447년(세종 29년)에 편찬된 《세종실록》에 ‘여민락(與民樂)’이 처음 기록된 날을 기념하여 6월 5일로 지정되었다.

 

□ 올해 축제는 ‘다시 찾은 의정부 터, 모두 함께 여민락(與民樂)’을 주제로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준비했다. 특히 조선 최고 관청 ‘의정부(議政府)’가 있었던 광화문 앞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처음 열려, 전통의 뿌리를 잇고 국악의 가치를 되새기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또한 국내 대표 국악평론가 윤중강이 예술감독을 맡아 축제의 방향성과 구성에 전문성을 더했다.

 

□ 축제는 ▴Stage 락락(樂樂) ▴Stage 여락(與樂) ▴민락(民樂) ▴와락(㧚樂) 등 4개 주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전문 국악인들의 공연부터 외국인, 어린이, 동호인, 신진 예술가, 장애인까지 다양한 시민이 함께 참여하고 어우러지는 공감과 소통의 장을 마련할 방침이다.

 

□ 메인 공연 무대인 <Stage樂樂>은 16시~21시까지 국내 대표 국악 명인들과 대중적으로 큰 사랑을 받는 아티스트들이 출연해 신명나는 국악 한마당을 펼친다. 화관무, 태평무, 대금독주 ‘신여민락’ 등 국악과 전통 무용을 아우르는 무대는 물론, ▴소리꾼 고영열·멀티 악기 연주자 권병호(슈퍼밴드) ▴국악인 남상일·경기 소리꾼 전영랑의 협업 등을 선보인다. 무대의 마무리는 사물놀이 창시자 김덕수의 ▴김덕수패 사물놀이가 맡는다.

 

□ <Stage 여락(與樂)>은 소규모 국악 무대로 관객과 더욱 가까이에서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관람객들은 캠핑의자에 앉아 피크닉을 즐기듯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국악을 즐길 수 있다. 장애인 사물놀이 ‘북치고 장구치고’, 프랑스·중국·말레이시아 등 외국인 국악공연, 언남초 전통예술단과 국제전통예술교류협회가 참여하는 퍼레이드 등이 눈길을 끈다.

□ <민락(民樂)>은 남녀노소 누구나 국악과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마련했다. 최근 드라마의 소재가 되며 관심이 높아진 ‘여성 국극’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정년이가 되어보자! 여성국극 체험>, 국악기를 직접 배워보는 <국악기 탐험대>와 <한복체험>, <슈링클스*로 의정부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이 눈길을 끈다.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는 <전통 노리터>도 운영된다.
*슈링클스 :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특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공예 재료

 

□ 마지막 주제인 <와락(㧚樂)>은 전시 공간을 마련하여 국악기와 관련 콘텐츠를 통해 국악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했다.

 

□ 한편, 올해 축제는 시민 자원봉사자 서포터즈 ‘악동이’가 축제 운영에 참여한다. 관람객 안내, 체험 지원, 외국어 응대 등을 맡으며 현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 시민 자원활동가 악동이는 축제, 행사, 국악에 관심이 있는 시민 중 개인 누리소통망(SNS)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25명을 대상으로 사전 모집을 마쳤다.

 

□ 또한 이번 축제와 연계해 6.6.(금)부터 6.8.(일)까지, 남산국악당과 돈화문국악당에서 <2025 국악위크>가 열린다. 동해안별신굿 <남산은 본이요>(남산국악당), <국악플러그인>(돈화문국악당) 등 풍성한 국악 잔치를 마련했다. ‘국악위크’ 공연 관람객 중, 서울국악축제 현장을 방문한 관람객에게는 축제 한정 굿즈도 제공한다.

 

□ <2025 제7회 서울국악축제>는 누구나 무료로 자유롭게 관람이 가능하며, 축제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누리집(www.seoulgugak.com) 또는 운영사무국(1800-4746)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 마채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올해는 6월 5일이 ‘국악의 날’로 처음 지정된 뜻깊은 해로, 서울 대표 국악축제인 <서울국악축제>의 개최 의미와 사명감이 더욱 크다”며 “역사적 상징성을 지닌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로 더 많은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들이 국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가까이서 접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번 축제를 계기로 국악이 일상 속에서 더욱 자연스럽게 향유되고,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서울의 대표 문화 콘텐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