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문학주간’, 문학과 소리의 색다른 만남 선사

0
48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9. 21.() 08:00 배포 2023. 9. 21.() 08:00

 

‘2023 문학주간’, 문학과 소리의 색다른 만남 선사
– 9. 22.~26.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등 전국에서 ‘문학주간’ 행사 개최

– ‘소리-채집’을 주제로 문학과 음악의 융합 공연 등 다채로운 문학행사 기획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가 후원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가 주최하는 ‘2023 문학주간922()부터 26()까지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열린다. 올해는 소리채집을 주제로 문학과 음악이 만나 문학을 청각과 공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관람객들을 기다린다.

 

문학과 음악, 50여 개 주제별 프로그램 부산과 제주 등 전국에서 개최

 

‘2023 문학주간920()에 열리는 전야제 행사 토크! 토크!(Talk! Talk!) 문학 에너지발전소에 이어 922() 오후 7시에 학전블루 소극장에서 열리는 개막식으로 그 시작을 알린다. 특히, 개막공연 주고 받는 소리에서는 오랜 기간 서신을 주고받으며 우정을 쌓아온 시인 마종기와 가수 루시드 폴이 나이와 장르를 넘어 소통할 예정이다.

 

23()부터는 시들의 사운드트랙’, ‘내 소설의 테마곡등 문학주간 기획위원들이 기획한 10여 개 프로그램을 대학로에서 진행하고, 공모를 통해 선정한 20여 개 문학 프로그램은 대학로뿐 아니라 부산, 제주 다양한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이와 함께 민음사, 다산북스 등 출판계와 협업해 작가가 참여하는 문학 강연과 북 토크도 기획해 진행한다. 신진작가의 나의 첫 책 프로젝트부터 최인훈 작가 5주기 기념 포럼까지 다양한 문학인들을 아우르며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26() 오전 10시부터는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국저작권위원회와 함께 문학 분야 저작권·계약 상담 부스를 운영해 문학인의 권리 보장에도 힘쓴다.

의 시각화 기획전시, 체험 부스 운영 등 풍부한 행사 기획

 

이번 행사기간에 마로니에공원 지하 다목적홀에서는 허수경 시인 5주기 기념전시를 개최한다. 한글 활자 디자이너인 이용제 교수가 허수경 시선집 수록 작품을 타이포그래피로 형상화한 작품을 전시하고, 24() 오후 3시에는 문자에 목소리를 더하다를 통해 이용제 교수가 직접 창작 의도와 제작 방식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마로니에 야외공원에서는 더욱 많은 들이 문학을 즐길 수 있도록 체험 부스를 운영해 타자기와 만년필 등을 활용해 문학 작품을 필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문체부 이은복 예술정책관은 “‘문학주간은 작가와 독자가 상호 교류하고 소통하는 행사로, 2016년 첫걸음을 뗀 이후 매년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며 국내 대표 문학축제로 자리매김했다.”라며 “‘문학주간참여자들이 문학을 더 가까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만나며 가을의 문턱에서 음악, 소리, 공간 등 여러 매개체를 통해 문학에 대한 애정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3 문학주간공식 포스터
2. ‘2023 문학주간주요 일정

  1. ‘2023 문학주간주요 출연자

 

담당 부서 문화예술정책실 책임자 과장 김도영 (044-203-2711)
예술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이혜민 (044-203-2710)
붙임 1 2023 문학주간 공식 포스터
붙임 2 2023 문학주간 주요 일정

 

시간

요일

오후 저녁
9.22(금) ㅇ 볼라뇨 20주기 기념행사

– 13:00~16:00 / 예술가의 집

– 정지돈, 금정연, 박세형, 김뉘연, 황희수

ㅇ [RECOVER] 문학과지성사 협력 프로그램

– 17:00~18:15 / 예술가의 집

– 신용목, 김소연, 이혜미, 박세미

ㅇ [개막식 및 개막공연] 주고 받는 소리

– 19:00~20:30 / 학전블루

– 마종기, 루시드 폴, 이상협(사회)

9.23(토) ㅇ 글틴, 오늘의 작가 북토크

– 11:00~12:15 / 학전블루

– 김초엽, 진은영, 정병국, 청소년작가 4명

ㅇ [RECOVER] 다산북스 협력 프로그램

– 17:00~18:15 / 예술가의 집

– 송지현, 우다영, 권민경(사회)

ㅇ 시들의 사운드트랙

– 19:00~20:30 / 학전블루

– 박연준, 박혜리

9.24(일) ㅇ 짐승의 말, 인간의 소리

– 15:00~16:15 / 학전블루

– 임솔아, 신예슬, 날씨

ㅇ 문학주간 특별전시 도슨트 토크

– 15:00~16:15 / 마로니에공원 지하 다목적홀

– 이용제, 이지성

ㅇ [RECOVER] 핀드 협력 프로그램

– 17:00~18:15 / 예술가의 집

– 박소란, 장진웅, 이혜주, 김선영(사회)

ㅇ 시냇가

– 19:00~20:30 / 학전블루

– 생각의 여름, 황인찬

9.25(월) ㅇ [Classic] 현기영 낭독공연 및 북토크

– 15:00~16:15 / 학전블루

– 현기영, 강제권, 신혜정, 홍기돈(사회)

ㅇ 내 소설의 테마곡

– 17:00~18:15 / 예술가의 집

– 최진영, 김화진(사회)

ㅇ 소설을 들어보살 – 장면들의 OST

– 19:00~20:30 / 학전블루

– 김멜라, 함윤이, 연리목, 최영두

ㅇ [RECOVER] 작가정신 협력 프로그램

– 19:00~20:30 / 예술가의 집

– 천희란, 선우은실(사회)

9.26(화) ㅇ 시리즈 만드는 마음 ‘매일과 영원’ 제작기

– 17:00~18:15 / 예술가의 집

– 김화진, 정기현

ㅇ [RECOVER] 민음사 협력 프로그램

– 19:00~20:30 / 예술가의 집

– 김현

ㅇ [폐막식 및 폐막공연] 숲이 꾸는 꿈

– 19:00~20:30 /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 김초엽, 조정치, 권혜원

 

* <상시 프로그램>

참여형 프로그램 <필사의 시간, 독서의 시간>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야외공간

문학주간 특별전시 <허수경 시인 타이포그래피 전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지하 다목적홀

붙임 3 2023 문학주간 주요 출연자

기획위원

사진 이름 장르 주요 작품 및 경력
강지희 평론가 작품 비평집 『파토스의 그림자』, 『혼자 점심 먹는 사람을 위한 산문』, 2020년 제21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수상 2020년 제21회 ‘젊은평론가상’ 수상

이력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

김화진 소설가/편집자 작품 소설집 『나주에 대하여』, 소설집 『공룡의 이동경로』, 『소설집 혹시 MBTI가 어떻게 되세요?』

이력 출판사 <민음사> 편집자

박솔뫼 소설가 작품 소설집 『그럼 무얼 부르지』, 『겨울의 눈빛』 『사랑하는 개』, 『우리의 사람들』, 장편소설 『을』, 『백 행을 쓰고 싶다』, 『도시의 시간』, 『머리부터 천천히』, 『인터내셔널의 밤』, 『고요함 동물』, 『미래 산책 연습』

수상 김승옥문학상, 문지문학상, 김현문학패 수상

박종현 음악인/작가 작품 1집 <생각의 여름> 2집 <곶> 3집 <다시 숲속으로> 등 다수 음반

이력 (재)월드뮤직센터 기획팀장, <생각의 여름> 싱어송라이터 활동 다수, 종로 동네서점 <시&페스타> 프로그램 기획 등 다수

유희경 시인 작품 시집 『오늘 아침 단어』 『당신의 자리━나무로 자라는 방법』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이다음 봄에 우리는』 등, 연극 <별을 가두다> <실선> <부부의 식탁> 등, , 산문집 『반짝이는 밤의 낱말들』 등 발간

수상 2020년 현대문학상 수상

이력 시집서점 위트 앤 시니컬 운영, 문학 및 다양한 분야의 예술 프로그램 다수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주요 출연자

사진 이름 장르 주요 작품 및 경력
마종기 시인 작품 『두번째 겨울』(1965), 『평균율』(공동시집: 1권 1968, 2권 1972), 『변경의 꽃』 (1976),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1980), 『모여서 사는 것이 어디 갈대들뿐이랴』(1986), 『그 나라 하늘빛』 (1991), 『이슬의 눈』 (1997),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2002),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 (2006), 『하늘의 맨살』 (2010), 『마흔두 개의 초록』 (2015) 등

수상 한국문학작가상, 편운문학상, 이산문학상, 동서문학상, 현대문학상, 박두진문학상, 대산문학상

이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오하이오 의과대학 ‘황금사과상’ 수상

루시드 폴 음악인/

작가

작품 1998 미선이 1집 ‘Drifting’ 데뷔, 2001 정규 1집 ‘Lucid Fall’, 2007 정규 3집 ‘국경의밤’, 2022 정규 10집 ‘목소리와 기타’ 등

수상 1993 제5회 유재하가요제동상, 2006 제3회 한국대중음악상최우수팝 싱글상, 2007 스위스화학회고분자과학부문최우수논문발표상

이력 독창적이고 서정성 짙은 음악을 추구하는 싱어송라이터

진은영 시인 작품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우리는 매일매일』 『훔쳐가는 노래』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

수상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천상병 시문학상, 백석문학상 등

이력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문학상담 전공 교수

현기영 소설가 작품 소설집 『순이 삼촌』 『아스팔트』 『마지막 테우리』, 장편소설 『변방에 우짖는 새』 『바람 타는 섬』 『지상에 숟가락 하나』 『누란』, 산문집 『바다와 술잔』 『젊은 대지를 위하여』 『소설가는 늙지 않는다』 등

수상 2019 제3회 제주4.3평화상 2013 제12회 아름다운 작가상 1999 제32회 한국일보문학상 1994 제2회 오영수문학상 1990 제5회 만해문학상 1986 제5회 신동엽문학상

이력 2003.02 제11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2001.03~2003.02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박연준 시인 작품 시집 『속눈썹이 지르는 비명』, 『아버지는 나를 처제, 하고 불렀다』, 『베누스 푸디카』, 『밤, 비, 뱀』과 산문집 『소란』, 『우리는 서로 조심하라고 말하며 걸었다』, 『내 아침인사 대신 읽어보오』, 『밤은 길고, 괴롭습니다』, 『인생은 이상하게 흐른다』, 『모월모일』, 동화 『정말인데 모른대요』

수상 2004 중앙신인문학상 (‘얼음을 주세요’)

최진영 소설가 작품 『팽이』, 『겨울방학』, 장편소설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끝나지 않는 노래』,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 『구의 증명』, 『해가 지는 곳으로』, 『이제야 언니에게』, 『내가 되는 꿈』, 『팽이』, 『겨울방학』 등

수상 2023 제46회 이상문학상 대상 2020 제35회 만해문학상 2010 제15회 한겨레문학상 2006 실천문학 단편소설부문 신인상

김멜라 소설가 작품 소설집 『적어도 두 번』 『제 꿈 꾸세요』, 장편소설 『없는 층의 하이쎈스』

수상 2022년 이효석문학상, 2021년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2021년 문지문학상

연S 작품 『비밀의 언덕』, 『드림팰리스』, 『침묵』, 『우리들』 바다와 술잔』 등 다수의 영화OST 작곡, 그룹 <눈뜨고코베인>, <타니모션> 소속 작곡 및 건반 연주

수상 2020년 제29회 부일영화상 음악상 (유열의 음악앨범) 2017년 광주프린지페스티벌어워드 최우수상 (음악당 달다) 2013년 전주세계소리축제 소리프론티어 대상 (타니모션)

이력 2012년 영화 <은교> 음악 작곡 및 연주

김초엽 소설가 작품 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원통 안의 소녀』 등이 있고, 함께 지은 책 『사이보그가 되다』, 여러 앤솔러지 참여

수상 2021 제62회 한국출판문화상 『사이보그가 되다』
2021 제19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젊은지도자상
2020 제11회 젊은작가상 「인지공간」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2017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부문 대상 「관내분실」

이력 2012년 영화 <은교> 음악 작곡 및 연주

조정치 음악인 작품 2010년 솔로 1집 [미성년 연애사]와 2013년 2집 [유작] 2018년 정규 3집 [3]

이력 윤종신, 하림과 함께 ‘신치림’ 활동, MBC <무한도전>, 라디오 DJ 등 다양한 방송 활동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