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한 반려동물 양육 문화 확산 ‘서대문 내품애(愛)센터’ 개소
성숙한 반려동물 양육 문화 확산 '서대문 내품애(愛)센터' 개소
유기견 보호실, 상담실, 놀이실, 목욕·미용실, 체험교육장, 실외놀이터 등 갖춰
유기 동물 보호·입양 상담, 동물 문화교실, 동물 매개 치유...
서대문50플러스센터, 중장년 세대공감 강사와 2025년 힘찬 출발
직업 능력 향상, 미래산업 대비, 지역사회 공헌 등의 강의 콘텐츠 지닌 20명 선발
내달부터 순차적으로 2025년 상반기 '함께하는 학교'에서 강의 시작
◯ 서대문구가 운영하는 중장년 행복 200% 지원 기관 서대문50플러스센터가 최근 2025년 상반기 ‘함께하는 학교’ 운영에 참여할 중장년 신규 강사를 모집했다.
이를 통해 직업 능력 향상, 미래산업 대비, 지역사회 공헌 등의...
“우리 동네는 내가 지킨다” 제1기 서대문 댕댕이 순찰단 출범
반려견 산책과 방범 활동 접목..11월 2일 폭포카페 야외테라스에서 발대식
앞서 대인반응, 타견반응, 호출반응, 외부산책 등의 '반려견 선발 테스트' 통과
주민 안심귀가 지원, 경로당 방문 산책 봉사, 어린이 반려견 체험 교육 등
서대문구가 11월 2일 오전 11시 서대문 폭포카페 야외테라스에서 반려견 산책과 방범 활동을 접목한 ‘제1기 서대문 댕댕이 순찰단’ 발대식을 개최한다.
이날 구는 자신의 반려견을 동반한 20명의 반려인을 순찰단으로 임명하며 ‘안전 200% 지역사회’를...
서대문구 봄나들이 명소 안산, 다채로운 봄꽃으로 옷 입다
서대문구 봄나들이 명소 안산, 다채로운 봄꽃으로 옷 입다
연희숲속쉼터, 안산 방죽 등 새봄 시민 나들이객 맞을 준비에 한창
서대문구가 관내 봄나들이 명소인 안산(鞍山)을 다채로운 봄꽃으로 단장했다.
구...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은 서대문구 신촌 연세로에서
2024 신촌 카운트다운 콘서트 '신촌, 첫눈에 반하다' 이달 31일 밤 10시 개최
디제이 세포(SEFO), 밴드 로맨틱펀치 등 출연..'새해맞이 카운트다운' 세리머니도
'신촌 프러포즈 이벤트'와 '신촌 어게인 2024...
서대문구 명소와 구민 선행, 언론 통해 알려지며 지역 이미지 UP
서대문구 명소와 구민 선행, 언론 통해 알려지며 지역 이미지 UP
구정언론홍보 우수 단체 관계자와 개인 등 9명 표창
서대문구가 11월 27일 오후 구청 대회의실에서 구정언론홍보 우수...
서대문구 ‘플라잉 테이블 3·5·7 페스티벌’ 비 예보로 연기
6월 2일(금) 오후 1∼7시, 지하철 이대역 인근 대현문화공원에서 개최
서대문구가 당초 5월 26일 지하철 이대역 인근 대현문화공원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던 ‘플라잉 테이블 3·5·7 페스티벌(FLYING TABLE 3·5·7 FESTIVAL)’을 비 예보가 있어 한 주 뒤인 6월 2일로 연기했다.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상인과 시민 간...
서대문구 ‘카페 폭포’에서 청년 예술가들의 전시 작품 감상을
서대문구 '카페 폭포'에서 청년 예술가들의 전시 작품 감상을
전시기획 전문 청년 기업 '갤러리 아미디', 전시회 '당신의 봄' 개최
관광과 힐링 명소 '카페 폭포', 다양한 전시와 공연으로...
이대 앞 상권 업종 제한 사실상 폐지..지역 활성화 기대
서대문구, 이대 앞 상권 업종 제한 사실상 폐지..지역 활성화 기대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열어 이대 앞 상권의 건축물 권장용도 대폭 확대
기존 의류·잡화점, 이·미용원에서 음식점, 노래연습장, 공연장, 학원, 의원 등까지로
서대문구가 최근 ‘신촌지구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이대 앞 상권인 대현동 37-32번지 일대의 건축물 권장용도를 대폭 확대했다.
앞서 서울시는 10여 년 전인 2013년 9월 ‘신촌지구일대 지구단위계획 결정’을 통해 의류·잡화 소매점과 이·미용원을...
서대문구, 노후 저층주택에 에너지 효율 개선 공사비 지원
서대문구, 노후 저층주택에 에너지 효율 개선 공사비 지원
공사비의 50% 이내에서 최대 450만 원까지..단, 자부담 250만 원 이상이어야
단열공사, 옥상 쿨루프 시공, 창호·LED 조명·친환경 보일러 교체 등 대상
지난해 참여 가구 분석 결과, 창호 교체 시 열 손실량의 약 60% 절감 나타나
서대문구가 관내 20년 이상 된 5층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저층 주거지 에너지 절감 및 효율화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한 가구당 에너지 효율개선 공사비의 50% 이내에서 최대 450만 원까지 지원한다.
단, 총공사비가 500만...